“아이폰 값이 더 오를지도 모른다고?”
트럼프 관세에 애플 긴급 수송
삼성도 생산기지 재배치 ‘고심’
미국 내에서 벌어진 아이폰 사재기 현상이 일시적 해프닝을 넘어, 글로벌 스마트폰 공급망과 산업 전략을 뒤흔드는 신호탄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은 중국, 인도, 베트남 등에서 생산되는 스마트폰과 전자제품에 높은 관세를 예고하며, 애플과 삼성전자 등 글로벌 전자업체들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게 만들었습니다. 다만 미국 정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90일간 유예 기간을 부여해 긴장은 일시적으로 완화됐지만, 여전히 “언제든 재부과 가능성”이라는 불안감은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시장은 가격이 아닌 **‘정치의 리스크’**를 체감하는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애플, 화물기 5대로 ‘긴급 수송’… 관세 피하기 위한 총력전
인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애플은 관세 부과 이전 미국 내 물량 확보를 위해 중국과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을 화물기 다섯 대에 실어 긴급 수송하는 강수를 뒀습니다. 이는 단순한 재고 조정 차원을 넘어서, 상호관세 적용을 피하려는 실질적인 ‘관세 회피 작전’이었습니다. 당초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제품에 최대 125%, 인도산에는 26%의 관세를 예고했으나, 유예 결정 이후 90일간 기본 관세율을 10%로 낮췄습니다. 그러나 중국산 제품에는 여전히 125%의 관세가 적용돼 애플의 긴급 조치는 불가피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애플스토어 매장에는 이를 계기로 구매 행렬이 이어졌고, 일부 매장은 올해 최고 매출을 이틀 연속 경신했습니다. 이는 관세가 ‘소비 심리’에도 직격탄을 날릴 수 있다는 점을 방증합니다.
삼성도 긴장… 베트남 관세 피하려 ‘인도 생산’ 확대 검토
애플만큼이나 긴장하고 있는 곳은 삼성전자입니다. 베트남 생산 제품에 최대 46%의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삼성의 대표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 Z폴드6는 미국에서 1,959달러에 판매되고 있지만, **관세가 본격 적용되면 가격이 최대 3,940달러(약 394만 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은 관세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인도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인도 노이다 공장은 중저가 모델 생산 중심이었지만, 최근 들어 플래그십 모델까지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 중입니다. 애플도 인도 생산 비중을 전체의 10~15%까지 늘려 대응하고 있어, ‘차이나 리스크’를 피하기 위한 탈중국 전략이 양사 모두에게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만들라’는 압박…
그러나 현실은 ‘불확실성 지속’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아이폰도 미국에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업계는 이를 실현하기엔 비용과 인프라, 효율성 측면에서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과거 애플이 시도했던 미국 내 맥 프로 생산은 높은 단가와 낮은 생산 효율성으로 인해 결국 철회됐으며, 삼성 또한 미국 내 대규모 스마트폰 생산 라인을 운영한 전례는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유예 조치가 기업에 단기적 여유는 주겠지만, 정치 리스크와 공급망 재편이라는 구조적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고 지적합니다. 글로벌 IT 기업들은 이제 단순히 ‘가격’을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 위치’와 ‘정치적 안정성’을 포함한 전략적 재배치를 고려해야 하는 시대에 진입한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