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미한 손상의 테슬라 차량
센터에서는 수백만 원 불러
셀프 수리 시도한 결과는?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고액 수리비와 부품 전체 교체 방식이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최근 한 차주가 테슬라 서비스 센터에서 받은 높은 수리비 견적에 실망해 스스로 수리를 시도한 사례가 알려지면서, 테슬라의 수리 정책과 그로 인한 자원 낭비 문제가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테슬라 서비스센터의 고액 견적 논란
미국 디트로이트에 거주하는 한 사이버트럭 차주는 차량 인도 후 몇 주 만에 경미한 사고로 운전석 도어가 찌그러지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차주는 테슬라 서비스 센터를 찾았지만, 단순히 찌그러진 부분을 펴는 대신 도어 패널 전체 교체를 권유받았습니다. 견적 비용은 부품값 828달러와 인건비를 포함해 총 3천 달러(약 443만 원)에 달했으며, 이 금액은 차주에게 지나치게 비현실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셀프 수리로 해결한 차주의 선택
수리비 부담을 느낀 차주는 집으로 돌아가 직접 수리를 시도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친구의 도움을 받아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으며, 결국 패널을 가열한 후 석션 컵을 이용해 찌그러진 부분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셀프 수리에 들어간 총비용은 친구에게 제공한 점심값인 25달러(약 3만 7천 원)에 불과했으며, 이는 테슬라의 공식 견적 대비 1/120 수준이었습니다. 이 사례는 테슬라의 수리 정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대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일깨워줬습니다.
전체 부품 교체 방식의 문제와 환경 영향
테슬라는 단순 수리 대신 부품 전체 교체를 권장하는 정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높은 비용 부담뿐 아니라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합니다. 과거에도 경미한 손상에도 불구하고 후륜 구동 장치 전체 교체를 권장한 사례가 보고된 바 있으며, 해당 교체 비용은 7,660달러(약 1,130만 원)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자원의 낭비로 이어지며, 환경 보호를 중시한다는 전기차 제조사의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소비자와 네티즌들의 반응
테슬라의 수리 정책에 대한 불만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네티즌들은 “환경 보호를 강조하는 테슬라가 자원을 낭비하는 방식은 모순적이다”, “단순 수리로도 충분히 해결 가능한 문제를 과도하게 부풀린다”는 등의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동시에 “셀프 수리가 가능하다면 소비자들도 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테슬라의 고액 수리비와 부품 교체 방식에 대한 논란은 단순한 비용 문제를 넘어 환경 보호와 자원 효율성 측면에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제조사와 서비스 제공자가 소비자와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리 방식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