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수입 어디 갔나?” 은퇴 후 무너진 삶, ‘충격’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택시 기사들의 한숨만 깊어진다
고령화 시대의 마지막 선택지 흔들려
생존 위한 하루 12시간 기다림
택시 공급 과잉
택시 공급 과잉 /출처-온라인커뮤니티

“오늘도 40분째 대기 중입니다.” 서대구역 앞 택시 승강장에 줄지어 선 백발의 택시 기사들의 얼굴엔 지루함과 불안함이 교차하고 있었습니다. 과거 ‘정년 없는 직업’으로 불리며 은퇴자들의 새로운 출구로 각광받았던 택시 운전이, 이제는 포화된 시장 속에서 생존을 건 기다림의 노동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고령화 속도와 맞물려 택시 기사 수는 늘었지만, 정작 수요는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되며, ‘마지막 일자리’마저도 점점 위태로워지고 있습니다.

택시 공급 과잉
택시 공급 과잉 /출처-온라인커뮤니티

수요는 그대로, 공급은 넘쳐… 도로 위엔 ‘줄 선 택시’

서대구역 앞, 한 개 차선을 가득 메운 30여 대의 택시 행렬. 줄 서 있는 기사들의 표정은 익숙한 듯, 지친 듯 무표정합니다. 대구시는 최근 ‘제5차 택시 총량 산정결과’를 발표했으며, 현재 대구시에 등록된 택시는 약 1만 5,703대입니다. 그러나 적정 공급량은 1만 257대로, 5,000대가 넘는 과잉 공급 상황이 확인됐습니다. 이는 대구공항, 백화점, 대형 병원 등 수요가 몰리는 곳마다 택시 기사들이 ‘줄 세우기 경쟁’을 벌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40년 경력의 한 택시기사는 대기 중 장기를 두며 시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언제 손님이 올지 몰라 그냥 기다리는 것뿐”이라는 그의 말은, 공급 과잉이 빚은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택시 공급 과잉
택시 공급 과잉 /출처-온라인커뮤니티

베이비부머의 몰입… “택시는 정년 없는 일자리”

전국적으로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2023년 기준 70세 이상 개인택시 기사는 3만 7,875명으로, 4년 전보다 무려 46%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체 개인택시 기사 중 약 23%에 해당하며, 개인택시 기사 4명 중 1명은 70세 이상이라는 뜻입니다. 서울개인택시조합 자료에 따르면 65~70세 조합원이 전체의 28%에 달할 정도로, 은퇴 후 택시 운전대를 잡는 중·고령층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년이 없고 시간 조절이 자유로운 구조, 일한 만큼 수익이 발생하는 단순한 구조가 매력 요소로 작용하며, 택시는 은퇴자들에게 ‘마지막 기회’가 되고 있는 셈입니다.

택시 공급 과잉
택시 공급 과잉 /출처-온라인커뮤니티

수입은 줄고 경쟁은 치열… 생존의 플랫폼으로 변질

하지만 기대만큼의 수익을 보장받는 것은 아닙니다. 개인택시는 고정 수입이 아닌 만큼, 수요에 따라 매출 차이가 크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12시간 운전해도 10만 원 못 버는 날’도 적지 않다는 것이 기사들의 하소연입니다. 인천에서 10년째 택시를 몰고 있는 68세의 박 씨는 “몸이 버티면 버는 만큼 가져가는 구조지만, 요즘은 경쟁도 치열하고 거리도 많이 돌아야 해서 수익이 줄었다”고 말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하루 12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 400~500만 원까지 수익이 가능하다고 하나, 이는 ‘잘 될 때’ 기준이며, 날씨, 경기, 수요 변화 등에 따라 변동이 심한 구조입니다. 결과적으로, 택시는 은퇴자들의 ‘정년 없는 기회’이자 동시에 ‘불확실한 생존 수단’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입니다.

info@wordpress-1265716-4561148.cloudwaysapps.com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