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스쿨존 시설, 노란색으로 일원화
주야 시인성 가장 효과적
선진국형 도로 시스템 점진적 도입, 시민들 호평
요즘 스쿨존은 노란색으로 도배
요즘 스쿨존 내 교통시설 대부분은 노랗게 물들었다. 신호등 커버, 단속 카메라 커버, 노면 표시, 횡단보도, 옐로 카펫, 횡단보도 앞 보행자 정지라인 등 거의 모든 부분이 샛노랗다. 정부가 유독 ‘색칠놀이’에 집착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어린이 등 보행자 안전 때문입니다.
주야 구분없이 스쿨존에서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효과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압도적이었으며, 이에 정부는 관할기관과 관련 법을 재정비하고, 도로 시설을 효과적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했습니다. 지금의 스쿨존 내 교통 시설이 노랗게 변한 이유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스쿨존에 노란색을 채택한 이유는?
그렇다면 경고나 주의를 나타내는 ‘빨간색’도 있는데, 굳이 노란색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바로 ‘시인성’ 때문입니다.
노란색은 멀리서도 잘 보입니다. 특히 빛의 파장이 넓게 퍼져, 물체를 더 크게 보이도록 강조합니다. 노란색 조명은 어두운 곳과 안개 낀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퍼지기 때문에 여기에 검정 배경인 아스팔트 도로가 배경으로 깔리면, 시인성은 배가 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특정 표시나 색상으로 특정 행동을 유도하는 ‘넛지 효과’가 제대로 발휘된 사례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옐로카펫의 경우, 아이들이 횡단보도 신호가 바뀌기 전 한 곳에 모이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노란색에 주목한 건 영국이 처음
노란색을 입힌 교통시설은 바로 영국이 첫 시작입니다. 1967년 이후 영국 본토와 영국령, 영국의 영향을 크게 받은 국가를 중심으로 활발히 도입되었는데, 참고로 스쿨존에서 자주 보이는 지그재그 차선, 회전교차로 등 역시 영국을 비롯한 유럽권이 시초입니다.
작년부터 적극 도입 중인 우리나라
정부와 지자체는 작년 부터 스쿨존에 노란색 횡단보도를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시인성을 고려한 조치로,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한 뒤 상당한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로교통공단 조사자료에 따르면, 운전자의 88.6%는 노란색 덕분에 스쿨존 내 시설을 잘 인지할 수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이어서 설문에 응한 운전자 중 59.9%가 노란색 횡단보도 도입 이후 정지선을 잘 넘지 않게 됐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그밖에 서울 및 일부 지자체에선 교차로 등 교통흐름이 복잡한 곳에서 꼬리물기를 금지하는 ‘정차금지지대’를 노란색으로 바꾸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