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콘퍼런스를 보기 위해
수백명에 달해 장사진 이뤄
최근 AI기술과 전략을 주목받아
개막을 하루 앞둔 CES 2025 현장에서 삼성전자 프레스 콘퍼런스를 보려는 인원만 수백 명에 달해 장사진을 이루었습니다. 업계 최고 기업으로 꼽히는 삼성전자가 발표할 AI 관련 기술과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호텔 3층에는 CES 2025 개막 전날인 6일(현지시간), 삼성전자 프레스 콘퍼런스를 기다리는 전 세계 언론과 기업 관계자들로 꽉 찼습니다. 미국·유럽·일본·중국 등 각국에서 온 수백 명이 행사 시작 최소 30분 전부터 줄을 섰으며, 시작 직전에 다급히 뛰어오는 사람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CES 주 전시장인 라스베이거스 컨벤션홀과 약 10~15분 거리인 만달레이 베이는 기업 대표와 경영진이 미디어를 대상으로 회사 비전과 신기술을 발표하는 장소로, 하루 종일 LG전자, 하이센스, TCL 등 다수 업체가 행사를 이어갔고 오후에는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키노트도 예정됐습니다.
삼성 프레스 콘퍼런스 대기 열기
삼성전자 프레스 콘퍼런스는 ‘AI for All: Everyday, Everywhere(모두를 위한 AI: 경험과 혁신의 확장)’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날 행사에는 한종희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부회장)이 대표연설자로 나섰으며, 전 세계 미디어와 거래처 등 약 1,300여 명이 참석했다는 후문입니다. 중국 전자업체 관계자 케이시 씨는 “삼성이 업계 최고 기업인 만큼 이번 발표에서 어떤 AI 기술을 선보일지 기대된다”며 “행사 후에는 엔비디아 키노트를 들으러 갈 것”이라고 말해, 글로벌 IT업계가 삼성전자의 AI 동향에 큰 관심을 갖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AI 기술 중심의 CES 관전 포인트
올해 CES 2025는 인공지능(AI), 로보틱스,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이 전면에 부각될 전망입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 몇 년간 TV·가전·모바일 등에서 AI 기반 기능을 확대해 왔는데, 이번 행사에서 더욱 진화된 사용자 경험과 혁신을 제시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TV·가전 분야에서 이미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음성인식이나 3D 사운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를 선보여 왔으며, 스마트홈 생태계와도 연계해 한층 진일보한 편의성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CES 현장에 모인 취재진들은 “삼성전자가 어떤 구체적인 AI 로드맵을 발표할지, 그리고 협력 업체나 스타트업과의 시너지 방안을 어떻게 밝힐지 주목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행사 이후 일정과 글로벌 기업 경쟁
삼성전자 프레스 콘퍼런스가 끝난 뒤에는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의 키노트가 예정되어 있어, AI 경쟁 구도가 CES 2025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될 전망입니다. LG전자·하이센스·TCL 등도 인공지능을 핵심으로 한 전략을 발표했고, 구글·아마존 같은 빅테크 업체들도 다양한 AI 협업 사례를 내놓고 있어 “AI 대전”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삼성전자가 이번 행사에서 보여준 AI 비전과 구체적인 기술들이 향후 TV·가전·모바일은 물론, 반도체·자동차 전장 분야까지 파급력을 확대할 것”이라면서 CES 이후 글로벌 기업 간 AI 기술 선점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