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LNG 구매 요구하며 협상 언급
알래스카산 가스, 경제성·정치성 얽혀
정부, “조건 검토 필요” 신중한 태도
최근 방한한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의 발언은 단순한 에너지 수출 제안 수준을 넘어서, 사실상 무역 보복과 연계된 ‘정치적 압박’에 가까운 내용이었습니다. 그는 “한국이 알래스카산 LNG를 구매하지 않으면 득이 없다”며, 무역수지 악화나 고율 관세 부과 등 불이익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친분을 언급하며 사실상 ‘트럼프 외교 라인’의 대리인처럼 움직이는 모습도 주목받았습니다,. 이 같은 외교 메시지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복귀 가능성과 함께 더욱 정치적인 무게를 갖게 되고 있습니다.
64조 원 초대형 프로젝트…사업성보다 부담이 앞선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규모 면에서나 정치적 상징성 면에서나 단순한 사업을 넘어섭니다. 알래스카 북부에서 시작해 남부까지 약 1300km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이를 통해 액화천연가스를 수출하겠다는 구상이지만, 그에 따른 천문학적 비용과 극한 환경으로 인한 공사 리스크는 만만치 않습니다. 사업비만 440억 달러(한화 약 64조 원)로, 웬만한 국가 예산에 맞먹는 수준입니다. 그동안 참여를 검토했던 엑손모빌, BP 등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도 수익성 부족을 이유로 중도 이탈했습니다. 이런 전례는 한국 기업들에게도 강한 경계심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공급 다변화 필요한 시점이지만, ‘비싼 가스’는 부담
국내 정부 입장에서는 LNG 수급 다변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지만, 알래스카산 LNG가 그 해답이 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현재 한국은 중동 국가와의 장기계약 종료를 앞두고 있어 새로운 공급처를 찾고 있는 건 사실이에요. 하지만 알래스카산 가스는 수송 비용과 생산 단가가 높고,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구조입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논의는 하고 있지만, 가격 조건이 맞지 않으면 수용할 수 없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LNG 수입은 단기 이익보다 장기적 안보와 경제성을 함께 고려해야 할 사안이기 때문입니다.
한미 관계 속 ‘시험대’ 오른 한국…외교 전략 시험대
지금 한국은 전례 없는 외교적 딜레마 앞에 서 있습니다. 트럼프 진영은 알래스카산 LNG 구매를 미국산 자동차 관세 문제 등과 연계하려는 분위기고, 이는 에너지 문제가 곧 무역 보복 카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반면, 한국 정부는 경제적 실익을 따지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고, 국내 기업들 또한 “리스크가 너무 크다”며 소극적인 자세를 유지 중입니다. 한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안 들어가면 외교적 압박, 들어가면 재정 리스크”라며 한국의 상황을 한마디로 요약했습니다. 앞으로 한국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세계 에너지 외교가 주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