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 폭탄,
한국GM 철수 위기 현실화되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부과 가능성을 다시 거론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가 긴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수출 비중이 절대적인 한국GM은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커, 2019년 군산공장 폐쇄 이후 또다시 철수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국 의존도 높은 한국GM, 관세 부과 시 타격 불가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와 무역 적자 해소를 이유로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를 고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발 빠르게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와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을 늘려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GM은 상황이 다릅니다. 지난해 한국GM은 49만 9559대를 판매했으며, 이 중 95%에 해당하는 47만 4735대를 해외로 수출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량이 41만 8782대(88.5%)에 달하며, 이는 국내 생산량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25%의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한국GM의 수출 경쟁력이 급격히 약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GM 본사, 장기 관세 부과 시 생산지 이전 가능성 시사
폴 제이콥슨 GM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최근 투자자 콘퍼런스에서 “자동차 관세가 장기화될 경우, 공장 이전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GM이 단순히 관세 문제를 대응하는 차원을 넘어, 생산 거점 이전까지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GM은 과거에도 시장성과 생산 효율성을 이유로 여러 나라에서 철수한 사례가 있습니다. 2013년 호주, 2015년 인도네시아·태국, 2017년 유럽·인도에서 공장을 철수했으며, 국내에서도 2019년 군산공장을 폐쇄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GM 역시 본사의 전략 수정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GM 철수 시 국내 자동차 산업에도 악영향
한국GM이 철수할 경우, 국내 자동차 산업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됩니다. 현재 한국GM에는 약 1만 10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1차 협력업체만 276곳에 달합니다. 과거 군산공장 폐쇄 당시에도 다수의 협력업체가 도산하거나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했습니다. 한국GM이 이번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철수를 결정한다면, 국내 자동차 산업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 대응 필요
전문가들은 한국GM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국GM의 생존 여부는 단순한 기업 문제가 아닌,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와 일자리 문제까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부와 업계가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관세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한국GM이 한국 시장에 지속적으로 남을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