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니 예매가 힘들지…’ 코레일 승차권 싹쓸이한 주범, 알고 보니?”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5명이 29억 원어치 승차권 취소
코레일의 허술한 모니터링 드러나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출처-온라인커뮤니티

최근 5년 동안 단 5명의 이용자가 29억 원이 넘는 승차권을 구매 후 취소했지만,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이를 전혀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0일 감사원이 발표한 철도공사 정기감사 결과에 따르면, 2019년 5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특정 이용객들이 대량으로 승차권을 예매한 뒤 거의 전액을 취소하는 일이 반복되었습니다. 그러나 코레일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들의 행태를 감지하지 못했고, 그로 인해 다른 이용객들은 좌석을 예매하기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였습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출처-온라인커뮤니티

코레일의 부실한 모니터링, 29억 원 취소도 몰랐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취소 금액 1억 원 이상인 5명이 구매한 승차권의 총액은 29억 3000만 원에 달했으며, 이 중 99.2%인 29억 800만 원어치를 취소했습니다. 그러나 코레일은 이러한 대량 취소 행위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코레일은 승차권을 대량으로 예매 후 취소하는 이용객을 모니터링해 회원 탈퇴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감사 결과에서는 허점이 많았습니다. 특히, 코레일톡(공식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만 감시 대상에 포함되고, 홈페이지에서 예매한 고객이나 우수회원, 운행일 또는 하루 전날 취소한 승객들은 감시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연간 취소 금액 1000만 원 이상, 취소율 95% 이상인 139명 중 단 16명만 적발되고 나머지 123명은 감시망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출처-온라인커뮤니티

좌석 부족 문제, 공급은 줄고 수요는 폭증

승차권 취소 문제와 함께, 심각한 좌석 부족 문제도 지적되었습니다. 2023년 고속철도 이용객은 1억 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2019년(9009만 명) 대비 13.7%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공급 좌석 수는 단 3.9% 증가에 그쳤습니다. 특히 경부선과 호남선, 수서고속철도가 모두 이용하는 평택~오송 구간의 선로 용량이 이미 포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정부는 2복선화 공사를 진행 중이지만, 완공 시점이 2028년 6월로 예정돼 있어 당장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실정입니다. 좌석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 승객들은 예매에 더욱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대량 취소로 인해 열차가 빈자리를 남긴 채 운행되는 비효율적인 상황도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출처-온라인커뮤니티

승차권 취소 문제 해결 위해 위약금 인상 검토

코레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승차권 취소 위약금 인상을 검토 중입니다. 현재는 일정 시간 내 취소 시 별도의 패널티가 부과되지 않지만, 앞으로는 출발 시각 임박 취소에 대해 더 높은 위약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SRT 운영사인 SR은 코레일로부터 추가 고속열차를 임차해 운행을 확대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하고, 좌석 공급을 늘리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감사원은 “철도 이용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국민의 세금이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철도공사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정비하고, 위약금 정책 및 직원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저한 시스템 개선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info@wordpress-1265716-4561148.cloudwaysapps.com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