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만에 바뀐 운명?” 지구 반대편서 들려온 소식에 모두 ‘깜짝’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한국 쌀로 아프리카 식량위기 해결 모색
K-라이스벨트 목표 초과 달성
원조받던 나라, 원조하는 나라로
벼 재배기술 교육
벼 재배기술 교육/출처-온라인커뮤니티

한국의 국제 식량 지원 사업인 ‘K-라이스벨트’가 아프리카 7개국에서 예상보다 훨씬 높은 성과를 내며 놀라움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3562톤의 벼 종자를 수확해 목표보다 19% 더 많은 결과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사업 첫해였던 2023년보다 무려 53% 증가한 수치입니다. 종자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수확량이 많은 벼 품종을 보급해 아프리카의 식량 자급을 실질적으로 도왔다는 점에서 국제 사회의 긍정적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평균 생산성이 헥타르당 4톤으로, 현지 품종보다 67% 높게 나타나 현지 농가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케냐) 벼 재배기술 교육
 (케냐) 벼 재배기술 교육/출처-온라인커뮤니티

지속 가능한 농업 협력으로 확대 중인 영향력

K-라이스벨트는 단순한 종자 보급을 넘어 아프리카의 농업 생태계 전체를 바꾸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미 마다가스카르, 앙골라, 짐바브웨, 말라위 등 남부 아프리카 4개국과 양해각서를 체결해 사업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제는 쌀 수확만이 아닌 가공 산업, 유통 인프라, 농촌 생활환경 개선까지 포함하는 종합 농업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 기니비사우 등도 참여 의사를 밝히며 국제적 확장세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시에라리온 농업장관은 “K-품종의 우수성을 확인했고, 본격적인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하며 한국의 기술력에 높은 기대를 보였습니다.

 (케냐) 벼 재배기술 교육
 (케냐) 벼 재배기술 교육/출처-온라인커뮤니티

한국이 걸어온 길, ‘원조 받던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한국의 이 같은 행보는 세계 개발 원조 역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사례입니다. 전쟁 직후 원조 없이는 생존이 불가능했던 나라가 이제는 유엔 식량기구의 주요 원조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2009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며 공식적으로 공여국이 된 한국은, 2018년 식량원조협약에도 참여해 매년 수만 톤의 쌀을 지원해 왔습니다. 올해는 그 규모가 사상 최대인 15만 톤으로 확대되었으며, 아프리카와 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총 17개국 818만 명에게 한국 쌀이 전달될 예정입니다. 지난해 수교를 맺은 쿠바도 처음으로 지원 대상에 포함되며, 한국의 영향력은 지구촌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케우돈(왼쪽) 라오스 농업서비스센터ADC 소장과 인근 지역에서 농업을 하는 농민이 한국 정부가 지원한 농기계를 소개
케우돈(왼쪽) 라오스 농업서비스센터ADC 소장과 인근 지역에서 농업을 하는 농민이 한국 정부가 지원한 농기계를 소개/출처-온라인커뮤니티

기술·농업으로 아프리카 바꾸는 ‘K-임팩트’는 계속된다

K-라이스벨트의 의미는 단순한 원조 사업을 넘어서, 기술과 경험을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한 개발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입니다. 한국은 벼 품종과 재배기술, 농업인 교육, 유통 시스템까지 아우르며 아프리카 농업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사회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협력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국가들이 이 모델을 벤치마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전쟁 이후 도움을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세계의 식량 문제 해결을 돕는 나라로 전환된 대한민국의 이야기는 감동적일 뿐 아니라, 지구촌 연대의 모범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info@wordpress-1265716-4561148.cloudwaysapps.com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