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국민차였던 비틀
사실 히틀러 지시로 탄생?
이젠 사라진 비틀의 역사
7월 30일을 어떤 날로 기억하시나요? 누군가에겐 기쁘고 행복했던 날, 또 다른 누군가에겐 아쉽고 슬픔이 가득한 날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7월 30일은 독일의 ‘국민 자동차’ 폭스바겐 비틀 1세대가 멕시코 공장에서 단종된 날로 기억됩니다. 2003년 이 날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차종 4위에 오른 비틀의 생산이 멈춘 날이기도 합니다.
그 기원은 히틀러의 지시에 있습니다. 1934년 히틀러는 독일 국민에게 1인당 한 대의 차를 제공하겠다는 공약을 내걸고, 100km/h로 달릴 수 있고 1,000마르크로 저렴한 후륜구동차를 지시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1세대 비틀입니다.
1세대 비틀은 공랭식 엔진을 장착한 후륜구동차로, 엔진을 뒤에 배치해 총격을 보호하고 유사시 모래주머니를 채워 장갑차로 운용할 계획이었습니다. 최대 출력 26.6마력을 내고 최고 속도는 98km/h였습니다. 비틀은 폭스바겐(국민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미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비틀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2003년까지 멕시코에서 푸스카란 이름으로 생산되었습니다.
미국이 좋아했던 비틀
2세대는 더 강력해
비틀은 미국에서 특히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공랭식 엔진과 후륜구동의 조합은 미국 시장에서 호평을 받았습니다. 당시 미국 시장에서는 저렴하면서도 신뢰성 높은 차량에 대한 수요가 높았고, 비틀은 이 요구를 충족시키는 모델이었습니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1세대 비틀입니다. 오리지널 비틀은 공랭식 엔진을 장착한 후륜구동차였다, 후륜구동을 선택한 이유는 엔진을 뒤에 배치해서 혹시 모를 총격을 보호하고 유사시 모래주머니를 채우고 장갑차로 운용하려던 것이었습니다. 최대 출력 26.6마력을 낼 수 있었고 최고 98km/h까지 속도를 낼 수 있었습니다.
비틀은 미국에서 특히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공랭식 엔진과 후륜구동의 조합은 미국 시장에서 호평을 받았습니다. 당시 미국 시장에서는 저렴하면서도 신뢰성 높은 차량에 대한 수요가 높았고, 비틀은 이 요구를 충족시키는 모델이었습니다 2003년까지 멕시코에서 생산되다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2세대 비틀은 1994년 북미 모터쇼에서 콘셉트 카로 먼저 등장했는데, 4년 뒤 1998년 ‘뉴 비틀’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했습니다. 1세대 비틀과 외관만 비슷했지 속은, 내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차량이었습니다. 1,984cc 가솔린 엔진을 사용해 최대 출력 114마력을 발휘하며, 앞좌석 에어백과 디스크 브레이크 등 현대적인 안전 장치가 추가되었습니다. 또한 그전에는 없었던 앞좌석 에어백과 네 개의 바퀴 모두에 장착된 디스크 브레이크 등 모든 것이 달라졌습니다. 그렇게 뉴 비틀은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젊은 층에게 특히 매력적인 차량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날렵한 비틀의 탄생과
예쁜 쓰레기로 불리던 암흑기
3세대 비틀은 2011년 상하이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습니다. 이름은 ‘더 비틀’이었습니다. 기존 둥글둥글하던 외관 대신 날렵하고 남성스러운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직렬 4기통 엔진과 DSG 6단 듀얼클러치 변속기와 결합해 최대 출력 160마력을 낼 수 있었습니다. 바뀐 디자인은 당시 매우 호평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판매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한때 비틀에게 붙여진 슬픈 별명은 ‘예쁜 쓰레기’. 차량은 매우 매력적이나 다른 차량에 비해 편의성이 매우 떨어졌기에 가성비가 바닥을 쳤습니다. 일부 매니아들이 세컨카로 구입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저조한 성적을 내고 있었습니다. 결국 2018년 7월 멕시코에서 마지막 생산을 마치고 비틀은 영원히 단종되었습니다. 이쯤 되면 7월은 비틀에게 아픈 달이나 다름없겠네요.
비틀의 디자인은
영원히 기억될 유선형
둥글둥글한 무당벌레 같은 디자인을 보면 바로 연상되는 ‘비틀’ 1920-1930년대 유행했던 ‘티어드롭’ 혹은 ‘스트림라인’ 디자인입니다. 정확히는 1920년에서 1930년대에 유행했던 ‘티어드롭’, 혹은 ‘스트림라인’이라고 불리는 디자인이며 당시 메르세데스-벤츠 120H와 타트라 T87 등이 비틀과 유사한 디자인을 가졌습니다. 따라서 비틀만의 고유 디자인은 아닙니다.
현재는 빌 처럼 이런 티어드롭, 스트임라인 형태의 디자인은 찾아볼 수 없지만 유행은 돌고 도는 법 아니겠어요? 현대 아이오닉 6가 바로 유선형 디자인인 스트림라인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물론 현대자동차의 콘셉트카인 프로페시에서 만들었지만, 아직 우리에게 이런 유선형 디자인은 비틀을 생각나게 합니다. 비틀은 사라졌지만, ‘역사엔 남았습니다. 역사에 남았다는 것은 우리에게 영원히 기억될 수 있다’ 이런 의미가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