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무너지는 신호탄?” 200여 곳에서 벌어진 사태에 업계 ‘긴장’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美 대기업들 트럼프 반DEI 기조에 빠른 변화
‘하얀 피부’ 백설공주에 라틴계 배우 논란
다양성 추구 기업들 정책 급선회 속출
반DEI 기조 확산
반DEI 기조 확산/출처-온라인커뮤니티

디즈니 실사판 *‘백설공주’*가 공개한 티저 영상이 100만 개 이상의 ‘싫어요’를 받으며 논란이 됐던 이유 중 하나는 DEI 정책이었습니다. 원작 속 ‘하얀 피부’의 백설공주가 아닌, 라틴계 배우 레이첼 제글러가 캐스팅되면서 일부 대중은 이를 ‘억지 다양성’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이러한 논란은 단순한 영화 캐스팅 문제를 넘어, 미국 전역에서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에 대한 반발이 점점 커지고 있는 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반DEI 기조 확산
반DEI 기조 확산/출처-온라인커뮤니티

DEI 정책, 왜 갑자기 위축되었나?

DEI는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의 약자로, 인종, 성별, 종교, 장애 여부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차별 없이 공정한 기회를 얻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정책입니다. 지난 10여 년간 미국의 대기업들은 DEI를 경영 철학으로 삼고 이를 기업 문화와 채용 정책에 반영해 왔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한 도덕적 가치 때문만이 아니라, 비즈니스적인 이점도 컸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력을 채용하면 더 넓은 시각과 아이디어를 통해 혁신을 촉진할 수 있고,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소비자층을 공략하는 데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이러한 DEI 정책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순식간에 태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반DEI 기조 확산
반DEI 기조 확산/출처-온라인커뮤니티

美 대기업, DEI 정책 언급 축소…
보고서에서 ‘다양성’ 표현 삭제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DEI를 적극 홍보하던 대기업들이 갑자기 ‘반 DEI’ 기조로 돌아서고 있습니다. *파이낸셜 타임스(FT)*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보도를 통해 미국 대기업 200곳 이상이 연례 보고서에서 DEI 관련 용어를 줄이거나 완전히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뉴욕 증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 상위 400개 기업 중,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연례 보고서를 제출한 기업의 90%가 DEI 관련 언급을 줄였거나 삭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채용 웹사이트 *인디드(Indeed)*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내 DEI 관련 직책 채용 공고는 2022년 중반 최고점을 찍은 후 현재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심지어 일부 기업들은 아예 DEI 관련 부서를 폐지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들이 정치적 환경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반DEI 기조 확산
반DEI 기조 확산/출처-온라인커뮤니티

금융·IT 대기업도 변화… ‘다양성’ 대신 ‘포용’으로 용어 변경

대형 금융사들도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마스터카드, 세일즈포스, S&P 글로벌, 팔란티어,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 글로벌 기업들은 올해 연례 보고서에서 ‘다양성(Diversity)’이라는 표현 대신 ‘포용(Inclusion)’ 또는 ‘소속감(Belonging)’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용어 변경이 아니라, DEI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방향 수정으로 해석됩니다. 기업들은 더 이상 인력을 인종별로 분류하는 통계 자료를 공개하지 않으며, 사내 흑인 전문가 네트워크와 같은 DEI 관련 내부 그룹에 대한 언급도 삭제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들이 DEI 정책을 축소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월 취임 직후, 연방 정부 기관의 DEI 정책을 폐지하고 연방 계약업체들에게도 DEI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다는 증명을 요구하는 강경 조치를 단행했습니다. 이는 DEI 정책을 ‘백인과 남성에 대한 역차별’로 간주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을 반영한 것입니다.

반DEI 기조 확산
반DEI 기조 확산/출처-온라인커뮤니티

DEI 정책 축소, 기업들의 생존 전략인가?

DEI 정책의 갑작스러운 위축은 미국 기업들이 정치적 흐름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에는 DEI 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되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상황이 급변한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기업들의 생존 전략일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DEI 정책이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기업들은 정치적 리스크를 줄이고자 DEI 관련 활동을 축소하거나 용어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DEI 정책이 완전히 사라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은 여전히 중요한 가치로 평가되고 있으며, DEI를 포기하는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혁신과 시장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기업들이 DEI 정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일시적인 변화인지, 아니면 장기적인 기조 변화의 신호인지, 앞으로의 흐름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info@wordpress-1265716-4561148.cloudwaysapps.com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