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소외 고령층에 금융 희소식
동네 우체국, 은행 역할 맡는다
정부의 새 금융접근성 향상 정책
은행 점포가 줄어들면서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고령층과 지방 거주자들이 점점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강원도 홍천에 사는 김 모(73) 씨처럼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노년층은 비대면 서비스에 적응하지 못해 직접 은행을 방문해야만 하는데, 가까운 지점조차 폐쇄되는 현실은 일상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점점 늘어나는 이 같은 사례는 디지털화의 그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이며,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실질적 금융 서비스 접근을 높일 수 있는 제도를 내놓았습니다.
“우체국이 은행이 됩니다” 새로운 금융 창구 역할 기대
금융위원회는 27일, 예·적금부터 대출 신청까지 은행 업무의 일부를 대면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은행대리업’ 제도를 올해 안에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영업점이 급격히 사라지고 있는 현실에서, 비대면 금융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특히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한 우체국(2,500여 곳)과 지역 상호금융기관들이 이 제도에 참여하게 되면, 고령층과 농촌 주민들도 가까운 거리에서 필수 금융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현금 입출금뿐 아니라 기본적인 예금 및 대출상담, 서류 접수 등도 가능해져, 기존 은행 점포의 빈자리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라지는 은행들, 소외되는 지역 주민들
은행 점포의 감소 속도는 생각보다 빠릅니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기준 전국 은행 점포 수는 5,849곳으로 1년 전보다 53곳 줄어들었습니다. 2012년 7,835곳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온 추세는 디지털 금융의 확대와 인건비, 운영비 절감 추구에서 비롯된 결과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효율성 중심의 변화는 지역 주민, 특히 고령층에게는 불편을 넘어 생존권과도 연결된 문제로 다가옵니다. 금융 연구기관은 서울, 부산 등 도시권의 은행 접근 거리가 평균 1km 이내지만, 강원도·전남·경북 등 농촌 지역은 27km 이상 떨어져 있는 곳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단순한 불편이 아니라 금융 차별이라는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어, 공공성과 접근성 확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는 금융 접근성 향상 대책
금융당국은 은행대리업 도입과 더불어 다양한 방식으로 금융 접근성을 넓혀가겠다는 입장입니다. 그 일환으로 우체국 외에도 편의점이나 대형마트 같은 유통 채널에서의 입출금 서비스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현재 일부 편의점에서 시행 중인 카드 기반 소액 출금 서비스는 물품을 구매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무결제 출금 허용, 입출금 한도 상향, 모바일 기반 현금카드 연동 등으로 편의성을 높이겠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IT기업·핀테크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모바일 기반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면서도, 고령층에게는 오프라인 기반의 지원책도 병행하겠다는 복합적인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